영암의 금석문

본문 바로가기





영암의 금석문 군서면

가의대부 하홍수 묘비

주  소
군서면 마산리 산 69-1
건립연대
숭정후 5주 갑인 양생월(1914년 11월)

본문

 

1711411669.01acgrJSDAoS.png

1711411671.6573uTBZjZmLah2.png



유명조선국 증 가의대부 이조참판 행 순안현령 하홍수의 묘

증 가의대부 이조참판 행 순안현령 하공 묘갈명
공이 막 조정을 나아갈 때, 나라의 사대부들이 도성 문에 조장(祖帳)을 치고 전별하며
떠나감을 안타까워하고 애석해하였으니, 돌아가는 길이 혹여 늦어질까 걱정하였다. 그가
얼굴빛을 단정히 하고 조정에 서서 왕정(王廷)을 보필하였으니, 공이 아니면 곤직(袞職)을
누구라서 보필하랴? 그가 수레에서 내리게 되어 관하(管下)를 다스림에 백성과 이속(吏屬)
이 그 덕과 의로움을 노래하며, 항상 은퇴하여 돌아감이 혹시나 빠를까 걱정하였다.
그는 예(禮)와 양(讓)으로 정사를 돌보았고, 세금을 줄여서 백성에게 은혜로웠으니, 공이
아니면 곤궁한 시절을 누가 돌보랴? 공이 평소부터 질병을 앓다가 관사에서 졸하자, 사녀(
士女)들은 마치 어린아이가 어미의 젖을 잃은 것처럼 울었다. 공의 관을 반장하는 날 제전
(祭奠)이 서로 잇달아졌고, …… 참판에 증직되었다. 대개 이것은 그의 높았던 선정과
행실에 보답하고, 그의 강직한 말을 다시 들을 수 없음을 애석해 한 것이다.
공의 휘는 홍수(弘秀)이다. 하씨는 관향이 진주로, 고려 때 사직을 지낸 진(珍) 공이 그
시조가 되고, 대사간을 지낸 결(潔)이 처음 우리 조정에 들어와 두 임금을 보필하여
백성에게 은택이 이르게 하였다. 자손들이 선대의 음덕에 기대어 문무(文武) 양도에서
계보가 끊이지 않고 기록되었다.
증조부는 휘가 경윤(景沇)으로 진사였고, 조부인 기남(起南) 공은 장사랑이었으며, 부친
관(灌)공은 통덕랑이었다. 공의 생몰년에 대해서는 가전되는 문서에 기록된 것이 없어
전하지 않으나, 대략 명종~선조 시기이고, 이른 나이부터 영명(英名)이 있었고, 봉양할
때는 부모의 뜻과 부모의 몸을 겸하여 봉양하였고, 시묘살이하며 끝까지 효성스러웠다.
문과에 급제하였다. 유사의 급제자 중 적임자를 선발하였는데, 기주(記注)로 뽑혀 국사(
國史)를 찬술하였고, 언관(言官)이 되어서는 시사를 논하였다. 함께 입조한 이들이 모두
경탄하며 장차 크게 쓰이겠다고 하였다. 지방관이 되어서는 대개 정사를 펼치는데,
거두어들이는 것을 줄이고자 하였다.
해남 마포면(馬浦面) 월암리(月嵒里) 흑산 묘좌(卯坐)에 장사지냈는데, 나무하는 아이들도
지금까지 ‘하시랑의 묘’라고 칭한다. 아들 하나를 두었으니 이름이 응문(應文)으로 부장(部
將)을 지냈으며, 임진년에 군공을 세워 공신에 녹훈되었고, 손자는 지재처사(志齋處士) 손
(遜)이다. 후손인 병마우후(兵馬虞侯) 권만(權萬)이 늙은 몸으로 지팡이를 짚고 어렵게 10
리 길을 걸어와서, 나에게 비석의 명문을 지어줄 것을 청하였다.
그 자리에 끼었던 내 벗 조면형(趙冕衡)이 글에 과장하는 말 없이 징험하여 믿을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기에 사양하지 않았다. 명(銘)은 다음과 같다.
사직공의 후예는 문, 무에 모두 기용되었도다.
공은 문원(文苑)에 나아가 성상의 총애도 입었고,
지방 수령으로 나가서는 세금을 줄여 그 정사를 돌보았다.
선조가 장차 징소하려 천자의 생각 시행되올 적에,
아직 다다르기 전에 졸하였으니, 사민이 애통해하고 정상도 슬퍼하셨어라.
그 죽음에 하늘이 무너진 듯하여 이경(貳卿)에 증직하여 표창하였다.
공사간에 다 표창되었으니, 대략 공의 평생이 되는구나.
월암의 골짜기에 그 명문을 드러내어 놓노라.
숭정 후 5주 갑인 11월, 생명행주(生明幸州) 기우만 지음
시문장(時門長) 12대손 태주
13대손 법부주사(法部主事) 권용 창립
13대손 권규 삼가 씀
14대 종손 유욱 윤화
13대손 전 주사(前主事) 권황
13대손 전 의관(前議官) 권엽

有名朝鮮國 贈嘉義大夫吏曹叅判行順安縣令河公弘秀之墓
贈嘉義大夫吏曹叅判行順安縣令河公墓碣銘
方公出官西爲國朝士大夫祖帳都門齎咨惜去猶恐其歸之或遲盖其正色
立朝黼黻王廷微公袞職誰補及其下車敷治管下民吏歌咏德義常恐賦歸
之或早盖其禮讓爲政薄斂惠民微公窮節疇恤公素抱贏疾病卒于官士女
號哭如嬰兒之失乳返櫬之日祭奠相續□ 間贈叅判盖酬其治行之高而
惜其直言之莫聞也公諱弘秀河氏貫晋州高麗司直珍其肇祖大司諫公潔
始入 國朝輔佐兩宗致澤君民子孫席先蔭文班武階譜不絶書曾祖諱景
沇進士祖起南將仕郎考灌通德郞公生卒年月家槩不傳槩在 明宣之際
早歲蜚英養兼志軆廬墓終孝及登文科有司賀榜下得人選記注撰國史以
言官論事同朝敬禪將次第大用而其分憂作縣盖欲薄試於爲政也葬海南
馬浦面月嵒里墨山卯坐樵牧媍孺至今稱河侍郞墓一男應文部將壬辰有
軍功錄勳孫志齋處士遜後孫兵馬虞侯權萬白首扶藜閒關十舍徵爲牲石
之銘所挾吾友趙冕衡筆簡當無溢辭可徵信不辭而命曰
司直之裔文武並用公則以文苑有天寵薄試外縣以觀其政宣室將召宸念
治行未瓜而卒士民悲傷 震悼其逝褒贈貳卿以公以私槩公平生月嵒之
阡庸昭其銘
崇禎后五周甲寅陽生月生明幸州奇宇萬撰
時門長 十二代孫泰疇
十三代孫法部主事權庸剏立
十三代孫權奎謹書
十四代宗孫有煜允和
十三代孫前主事權煌
十三代孫前議官權燁

유명조선국 증가의대부이조참판행순안현령하공홍수지묘
증가의대부이조참판행순안현령하공묘갈명
방공출관서위국조사대부조장도문재자석거유공기귀지혹지개기정색
립조보불왕정미공곤직수보급기하차부치관하민이가영덕의상공부귀
지혹조개기례양위정박렴혜민미공궁절주휼공소포영질병졸우관사녀
호곡여영아지실유반츤지일제전상속□간증참판개수기치행지고이
석기직언지막문야공휘홍수하씨관진주고려사직진기조조대사간공결
시입 국조보좌양종치택군민자손석선음문반무계보부절서증조휘경
연진사조기남장사랑고관통덕랑공생졸년월가개불전개재 명선지제
조세비영양겸지체려묘종효급등문과유사하방하득인선기주찬국사이
언관론사동조경선장차제대용이기분우작현개욕박시어위정야장해남
마포면월암리묵산묘좌초목부유지금칭하시낭묘일남응문부장임진유
군공록훈손지재처사손후손병마우후권만백수부려한관십사징위생석
지명소협오우조면형필간당무일사가징신불사이명왈
사직지예문무병용공칙이문원유천총박시외현이관기정선실장소신념
치행미과이졸사민비상 진도기서포증이경이공이사개공평생월암지
천용소기명
숭정후오주갑인양생월생명행주기우만찬
시문장 십이대손태주
십삼대손법부주사권용창립
십삼대손권규근서
십사대종손유욱윤화
십삼대손전주사권황
십삼대손전의관권엽





방문자 집계

오늘
1,705
어제
2,734
최대
3,242
전체
1,300,506

영암문화원 열람실 | 대표자 : 원장 김한남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로55

TEL : 061-473-2632 | FAX : 061-473-2732 | E-mail : [email protected]

Copyright © 영암문화원.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